2. 교재 분석의 기준
현재 카자흐스탄 내 대학 한국어학과에서 사용하는 교재는 기관과 전
공에 따라 선택된다. 그 동안 연세대학교, 서강대학교 등의 교재를 사용
해 왔는데 2009년부터 한국어 수업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체제 및 내
용으로 구성된 <카자흐스탄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 가 출판되어 많은 대
학들이 이 교재를 사용하기를 시작하였다. 일반 목적 학습자들이 주로 학
습하는 한국교육원은 세종학당으로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세종한국어>
교재만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자흐스탄 내 대학교에
서 주로 사용하는 교재인 <카자흐스탄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와 세종학
당에서 사용하는 <세종한국어>를 중심으로 교재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
다. 각 교재의 서지사항은 다음과 같다.
카이르케노바 굴나즈. 카자흐스탄의 한국어 교재 문화 내용 분석
121
<표 1> 분석 교재 서지사항
본 연구에서는 교재 분석의 기준을 제시한 이해영(2001)과 송명진
(2014)을 참고하여 분석 기준을 설정하되, 본 연구의 주제인 문화와 관련
된 부분에 한정하여 분석 기준을 정하였다. 이해영(2001)에서는 교재 구
성을 외적 구성과 내적 구성으로 구분하고, 학습 내용을 주제와 언어 내
용, 문화 내용으로 구분하여 분석 기준을 제시하였다. 문화 내용을 분석
하는 기준은 성취/일상 문화 중심 여부, 과제 활동 유무, 문화에 대한 설명
제시 유무, 문화 충격이나 거부감 최소화를 위한 내용을 포함한다. 송명
진(2014)에서는 교재 문화 내용의 분석 기준을 교재 내 문화 교육 도입의
원리와 수준 명시 여부, 문화 텍스트 형식, 문화 텍스트 주제, 문화 텍스트
내용, 문화 텍스트 어휘, 문화 텍스트 시각 자료, 과제 활동, 의사소통 기
능과의 통합 수준 등 8가지로 구별해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이해영(2001)에서 제시한 문화 내용 분석 틀에서 성취/일상 문화
중심 여부, 과제활동 포함 여부를 참고하고, 송명진(2014)에서 제시한 교
재 기본 구성, 문화 텍스트 형식, 텍스트와 시각 자료의 관련성, 과제 활동
유형 등을 참고하여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교재 분석 기준
은 다음과 같다.
КОРЕЕВЕДЕНИЕ КАЗАХСТАНА выпуск 9 (2019)
122
<표 2> 교재 분석 기준
<표 2>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먼저 교재의 기본 구성을 살펴보고 다음
으로 교재 내 문화 단원 구성 및 내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교재의 기
본 구성에서는 교재의 전체 구조 및 적용된 교수 원리를 살펴보도록 한다.
다음으로, 교재의 문화 단원 구성과 내용에서는 5가지 항목으로 분류하
여 첫째, 문화 텍스트 형식에서는 문화 텍스트가 단원 어디에서 위치하는
지, 분량이 어느 정도인지, 번역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둘째, 문화 텍스트
주제가 단원의 주제와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셋째, 문화 텍스트 내용
에서는 성취/일상 문화 중심인지 또는 전통/현대 중심인지 살펴보고자 한
다. 여기에서 말하는 성취 문화는 권오경(2009:56)에서 제시한 인간이 이
룩한 유, 무형의 모든 업적과 인위성이 가미된 자연·생태 문화가 이에 해
당된다. 한국의 문화재, 역사적인 인물, 자연, 의식주생활, 여가, 공물, 예
술 등도 이에 포함된다. 일상 문화는 일상생활을 지칭하며, 한국 사회의
기본적인 욕구, 환경, 가치관, 예절, 행동, 습관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일
제 시대 전에 발생한 사건과 풍습, 전통이 전통문화에 해당되고, 일제 시
대 후에 나타난 문화가 현대 문화에 해당된다. 넷째, 문화 텍스트 안에 시
각 자료가 있는지 여부와 그 시각 자료가 문화 내용과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문화 텍스트 과제 활동이 포함되어 있는 여부와 포
함되어 있다면, 언어 능력의 말하기/듣기/쓰기/ 읽기와 통합이 되어 있는
지를 살펴본다.
카이르케노바 굴나즈. 카자흐스탄의 한국어 교재 문화 내용 분석
123
Достарыңызбен бөліс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