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접근 방법과 선행 연구
K-pop 과 J-pop 의 인기 차이, 국가별 접근 차이, K-pop 의 성공 요인, 한
류로 본 한국 이미지 개선 등에 관한 주제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혹은 기존 한류와 관련 연구가 주로 한류의 효과를 강조해 왔
다. 그리고 K-pop 을 이미 ABCD 모델로 분석한 연구도 존재함으로써 Q-
pop 이란 새로운 현상을 K-pop 과 비교하는 연구가 아직 없는 실정이라
이 연구가 가치가 있다고 본다. 특히 중앙아시아 혹은 카자하스탄은 독립
을 받은지 상대적으로 오래 되지 않은 나라라서 연구해야 할 부분도 많고,
카자하스탄은 K-전략도 모방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류는
특히 K-pop 은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그리고 한류는 그 나라의
문화산업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연구의 목적은 나라별 한류 현
상의 출현과 활성화 과정이 어떻게 된지 한류는 카자흐스탄 혹은 다른 중
앙아시아 국가들의 문화 사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카자흐스탄 Q-pop
이란 형상을 ABCD 모델로 활용해서 향후 성과률이 어떻게 될 수 있을 지
КОРЕЕВЕДЕНИЕ КАЗАХСТАНА выпуск 9 (2019)
148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은 분석 결과를 통해서 Q-pop 성장 촉진 과정이
어떻게 될 수 있을 지 모색할 것이다. 2000 년만해도 한류는 세계적으로
세련되며 낯선 합성어였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짧은 시간이 지나서
한류라는 용어가 유럽과 남미 등으로 팬층이 확대되었으며 일반화되었
다. 그래서 앞으로도 Q-pop 이란 현상이 인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가능
성이 있는지 예측할 수 있다고 본다.
기존 연구는 공통점과 차별점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존 문헌의 공통점
은 한류가 한국 이미지 개선 요인이 되었다. 한류 현상은 관광적 효과, 경
제적 효과, 문화적 효과 등 여러 측면에서 한국 이미지를 개선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한류가 관광객의 한국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
화시켰다. 두번째 분류는 한류의 국가별 접근법 및 성장 요인에 대한 분
류이다. 1990 년대 중반 중국을 시작으로 한류라 통칭되는 대중문화의 인
기를 아시아뿐만 아니라 중남미, 유럽, 중앙아시아, 중동 등 비롯한 세계
각국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한류가 문화한류에서 산업영
역인 경제한류로 나아가도 있는 중이다.
(1) 한류로 한국 이미지 개선 영향 문헌 검토
이은숙 (2002) 연구에 따르면 한류는 한국의 엄청난 광고 효과가 되었
다. 드라마와 대중가요가 중심이 되어 인기 시작한 '한류'는 유사 이래 최
초의 대중문화 발신자로서 본격적인 문화 수출국으로의 전환을 가능하
게 하여 문화사의 새 장을 쓰게 하였으므로 흥분과 기대가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한류를 통해 중국인의 한국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데
가장 큰 계기 중 하나가 되었다. 서용건, 서용구 (2003) 한류가 한국의 관
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가 중국 관광객의 여행
만족, 재방문, 추천의도와 같은 구매 후 관광객 행동에는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현재 한국의 관광목적지 이미지에 상당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조성아 (2010)는 한류는 한국어 붐 확산 효과의 원인이 되었다. 이제 한국
관광하는 목적으로 온 사람들뿐만 아니라 한국어를 배우러 온 외국인 수
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한류가 한국에 대한 이미지 제고 효과에 도움을
준 것 뿐더러 한국어, 한국문화 등에 대해 호감도를 높였다고 볼 수 있다.
강규상 (2012)은 한류는 세계인들에게 한국을 대표하는 이미지로 자리 잡
아 가고 있다. 전 세계 한류 팬들이 한국 드라마나 케이팝에 열광하는 이
유는 바로 한국 콘텐츠의 우수성과 역동성이라 할 수 있다. 한류관광의
개념을 두 가지로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다. 첫째, 합의의 순수한 한류관
광이란 '한류의 영향을 받아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이 체류기간 동
안 한류 영상 촬용지 방문, 한류 스타 팬미팅, 한류 공연과 이벤트 관람 등
한류 문화콘텐츠 및 연예인 관련 활동에 실제로 참여'한 경우를 말한다.
둘째, 광의의 확대된 한류관광이란 '한류의 영향을 받아 한국을 방문한 외
국인 관광객이 한류 관광지를 방문하거나 한류 관련 활동에 직접 참여하
김 엘리나.
K-POP 및 Q-POP 을 ABCD 모델 활용
149
지는 않지만 한국의 전통, 문화, 역사, 예술, 음식 등과 관련된 일반 관광
활동에 참여'한 경우를 말한다. 조인회, 윤여광 (2013)의 연구에 따르면 한
류는 이제 '지구촌' 현상이 되었다. 한류를 소비하는 국가가 다양해지고
소비계층이 젊은 층뿐만 아니라 노인층까지 포함되었다. 결국 한류를 통
하여 한국제품의 수출이 증가되었으며 한국의 국가 브랜드 제고되었다.
문효진, 박성현 (2012)은 한류의 초기 성장은 아시권 나라 (중국, 대만, 일
본)부터 확산을 시작하여 이제 한류가 아시아를 넘어 비아시아권으로 확
대되고 있다.
(2) 국가별 한류의 현황과 발전 과정
문효진, 박성현 (2012) 한류콘텐츠 인기요인의 국가별 (일본, 미국, 프
랑스) 차이는 전문성, 참신성, 뛰어난 품질, 세련된 스타일의 외모, 천그함,
스타의 재능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반적으
로 일본보다는 비아시아권 지역인 미국에서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얻었
다고 분석하였다. 중동 이란에서 '주몽'이 2008 년도에 방송돼 시청률 85
를 넘기며, 중동에 다시금 한류 바람을 일으켰다. 한국 드라마의 인기로
인해 현지인들의 일상 모습도 바뀌었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에서도 한
류가 인터넷을 타고 젊은층으로 파고들고 있다. 특히, 유튜브를 통해 K-
Pop 뮤직비디오가 이들 지역에서 높은 조회수를 보이고 있다. 박영일
(2013)의 연구에 따르면 베트남 소비자들은 하눅ㄱ 드라마, 영화, 게임에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국 경우, 한국 한류
소비시간의 66%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태국, 베트남, 중국의
경우 한류 콘텐츠에 대한 관심도는 드라마, 영화, 케이팝, 게임 순으로 높
으나, 일본은 케이팝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지은 (2014)은 중앙아
시아 국가 2008 년도 '꽃보다 남자' 드라마 인기를 폭발하게 되었으며 국
경 TV 케이팝 방송, 의료 한류, K- 패션이 높은 인기도 보여주고 있다. 윤
재식 (2012) 우즈베키스탄에서 한국드라마 신청률이 높게 나타나 한국어
학습 요구도 높아졌다. 남애리 (2009) 일본 중노년층 '겨을연가' 드라마에
대한 큰 인기를 얻었으며 김치업체도 상승 추세를 보였다. 조성아 (2010)
는 홍콩에서 한류를 통하여 한국 가정 제품이 인기를 끌리며 삼성, LG 의
TV, 핸드폰 등 판매률이 증가하게 되었다. 박호식 (2018) 연구에서 태국
은 한국 관광의도가 높아졌으나 드라마와 영화의 촬용지 관광은 많은 인
기를 끌고 있다.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15)에 따르면 최근 한류의 확
산에 따라 재조명을 받고 있는 국가가 카자하스탄이다. 한류 중간성장 그
룹은 한류의 확산단계이면서 한류가 일반인에게도 퍼져 있으며 관련 상
품 판매도 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전망이 '당소 긍정적'인 국가를 말한
다. 카자하스탄, 독일, 터기, UAE, 남아프리카공화국, 캐나다, 호주, 영국,
프랑스, 우크라이나가 한류 중간성장 그룹에 속한다. 이 그룹의 특징은
한류가 빠르게 확산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느리게 확산된다는 점
КОРЕЕВЕДЕНИЕ КАЗАХСТАНА выпуск 9 (2019)
150
이다. 카자하스탄은 한류의 지속적인 확산단계에 있고 한류 성장도어느
정도 높아 보이지만 한류 마니아층이 얕아서 불안정한 상태인 것으로 파
악되었다. 문효진, 박성현 (2013) 한류의 인기요인 콘텐츠 자체가 전달하
는 재미와 감동 등을 포함하고 있는 '콘텐츠 흥미성', K-Pop 가수들이나 드
라마, 영화에 등장하는 배우들의 외모에 대한 매력도로 구성된 '인적 매력
성', 영화나 드라마의 탄탄한 스토리 전개나 촬영기술, 한류스타들의 연기
력과 K-Pop 가수들의 가창력 등을 포함한 '콘텐츠 전문성' 등 크게 3 가지
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한류 인기요인과 한류 콘텐츠 호감도와의 관계에
서 지역별로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 정도에 차이는 존재했지만,
조사 지역 모두 '콘텐츠 흥미성', '인적 매력성', '콘텐츠 전문성'이 한류 콘
텐츠 호감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고 밝혔다.
Достарыңызбен бөліс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