Отношений и мировых языков имени абылай хана центр корееведения



Pdf көрінісі
бет64/120
Дата14.09.2023
өлшемі3.51 Mb.
#477614
1   ...   60   61   62   63   64   65   66   67   ...   120
KSK 9

5. 결론 
지금까지 『카자흐스탄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와 『세종한국어』를 
분석해 보았다. 카자흐스탄 내 대학교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카자흐
스탄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는 1-4권까지 매 단원마다 문화 내용을 포함


КОРЕЕВЕДЕНИЕ КАЗАХСТАНА выпуск 9 (2019) 
134 
하고 있고, 주제도 단원의 주제와 연관성이 있었다. 다만, 시각 자료의 제
목 등 수록된 시각 자료에 대한 설명이 없었고, 문화 내용과 관련된 과제 
활동 번역도 초급 단계에서만 제시되고 있었다. 이 교재의 5-6 권에서는 
관용어, 한자 성어, 속담, 의성어· 의태어 등만을 다루고 있었는데 이는 문
화적인 표현 및 한국인의 사고방식을 알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고급에서 
언어적 표현만을 다루다 보니, 역사, 정치, 직장 생활 등 심도 있는 내용들
을 다루지 못하고 있다. 
한국교육원과 한국문화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세종한국어>는 권당 4-
5개의 문화 항목을 다루고 있어 그 수가 적은 편이다. 대신 한 항목당 분
량을 4쪽 정도 배정하여 한 항목의 문화 내용을 비교적 심도 있게 다루고 
있었다. 『세종한국어』도 단원 주제와 문화 주제가 대체로 연관성이 있
었으며 시각 자료도 적절히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번역이 없어 학습자
가 혼자 학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교재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
째, 각 교재는 학습 목적에 맞게 문화 항목을 다루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
웠다. 즉, 『카자흐스탄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사용하고 있지만 심도 있는 주제가 누락되어 있고 분량도 문화 항목을 깊
이 있게 다루기에는 부족하다. 학습자들이 실제적인 일상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내용이 있지만 생활 정보, 교통 등과 관련 내용이 미
흡하다. 
둘째, 두 교재 모두에서 문화 단원의 번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
자가 문화를 혼자 학습하기에는 어렵다. 학습자가 직접 문화 내용을 잘 
이해하기 위해 문화 내용이나 문화적인 어휘의 병기가 있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셋째, 각 교재는 문화 내용에서 시각 자료를 포함하고 있지만 『카자흐
스탄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에서는 시각 자료에 대한 설명이 없고 시각 
자료가 다양하지 못하다. 학습자가 시각 자료를 잘 이해하고 이들의 흥미
를 유발시키기 위해 시각 자료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특히, 초급 학습자들
에게는 시각 자료에 대한 설명의 번역어가 있어야 한다. 
넷째, 각 교재에서 현대 문화에 해당하는 항목이 높은 비중 차지하고 
있는데 학습자의 요구를 고려하여 전통 문화의 항목을 추가할 필요가 있
다. 특히, 역사 정치, 경제 등과 같은 누락된 문화 항목을 추가하면 학습자
가 현대 문화와 비교하고 변화를 파악하게 된다. 또, 이 문화 항목과 관련 
어휘도 알게 되기 때문에 학문 목적 학습자가 유학이나 취업을 하게 되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화 내용과 관련된 과제 활동이 말하기 활동으로만 구성
되어 있고 듣기, 쓰기, 읽기와 통합된 과제 활동은 없다. 문화 항목은 언어 
능력의 다른 기능을 통합하여 문화 교육과 언어 교육이 같이 진행되어야 
한다. 


카이르케노바 굴나즈. 카자흐스탄의 한국어 교재 문화 내용 분석
135 
참고문헌
 
1. 
박넬리. 카자흐스탄 한국어교육 - 현황과 문제점.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5. 
2. 
이해영.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재 분석 // 한국어교육12. 국제한국어교
육학회, 2001. pp 199-232.
3. 
송명진. 교재 분석을 통해서 본 한국어 문화 교육의 실제 및 발전 방향-일반 
목적 한국어 초급 교재를 중심으로 //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한국어 교재 
한국국제교류재단. 카자흐스탄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1, 다락원. 2009. 
한국국제교류재단. 카자흐스탄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2, 다락원. 2010. 
한국국제교류재단. 카자흐스탄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3, 다락원. 2011. 
한국국제교류재단. 카자흐스탄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4, 다락원. 2012. 
국립국어원. 세종한국어1, 가삼기획. 2011. 
국립국어원. 세종한국어2, 가삼기획. 2011. 
국립국어원. 세종한국어3, 도서출판하우, 2012. 
국립국어원. 세종한국어4, 도서출판하우, 2012. 
국립국어원. 세종한국어5, 도서출판하우, 2013. 
국립국어원. 세종한국어6, 도서출판하우, 2013. 
국립국어원. 세종한국어7, 도서출판하우, 2013. 
국립국어원. 세종한국어8, 도서출판하우, 2013.


136 


Достарыңызбен бөлісу:
1   ...   60   61   62   63   64   65   66   67   ...   120




©dereksiz.org 2024
әкімшілігінің қараңыз

    Басты бе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