Отношений и мировых языков имени абылай хана центр корееведения


Keywords: project-based teaching,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eaching,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skills, curriculum design



Pdf көрінісі
бет80/120
Дата14.09.2023
өлшемі3.51 Mb.
#477614
1   ...   76   77   78   79   80   81   82   83   ...   120
KSK 9

Keywords: project-based teaching,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eaching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skills, curriculum design. 
 
1. 서론 
카자흐스탄 번역수업에서 학습자들에게 현장 경험을 통해 번역현장의 


КОРЕЕВЕДЕНИЕ КАЗАХСТАНА выпуск 9 (2019) 
166 
이해를 돕고 번역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은 매우 중요하다. 현장 경험은 
시간 압박, 전문적 책임, 자가 평가가 잇따르기에 학습자들이 더욱 적극
적으로 수학할 수 있고 이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번역능력 향상에 기여하
기 때문이다(Kiraly, 2005). 또한 현장경험은 학습자들에게 협력의 장의 기
회를 제공한다. 협력 작업은 학습자들에게 번역능력을 형성시킬 수 있도
록 도와준다(Kiraly, 2005). 교수자들은 상아탑 밖에서 학습자들이 전문 번
역가로 활동 할 수 있는 능력을 양성할 의무를 가지기에 기존의 교육 방
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카자흐스탄에서 번역전공학습자 37명을 대상
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듣고 있는 수업 중 주로 많이 쓰이
는 교수법은 어느 것입니까?'라는 질문에 40,5%의 학습자가 ‘강의법’이라
고 대답했다(톡타로바, 2018). 현 시점에서 카자흐스탄 번역학 교수자는 
단지 지식전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뿐이며 학습자들은 소극적으로 수
학하고 있다. 프로젝트 중심교육은 학습자들의 소극적인 태도를 적극적
인 교육태도로 개선 시키며 현장경험의 이해를 도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카자흐어/러시아어 통번역학부과정 학생을 대상
으로 한 프로젝트 중심 번역교과목 설계를 제안하는 것이다.
 
 
2. 연구 방법과 선행 연구
2.1. 프로젝트 중심 접근법 
프로젝트 중심교육은 과학, 역사와 같은 수업에서 처음 적용되었으며, 
학습자중심 접근법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제 2 언어교육에도 확장되어 사
용되고 있다(Eyring, 1997). 학습자중심 접근법은 구성주의 이론을 기반으
로 하며 학생들이 현장 언어사용을 경험할 수 있는 실무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Fried-Booth, 2002).
Dewey 등 많은 학자들이 교육현장에서의 경험학습, 실천학습, 학습자 
중심 학습의 장점과 효과를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Markham, Larmer 
& Ravitz, 2007). 학습자 중심 학습은 경험과 언어의 실제성을 나타내며 학
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한다(Stoller, 2006). 자세한 내용은 표 에서 확인 
할 수 있다. Markham(2011)은 아는 것과 실천하는 것을 통합시키는 것이 
프로젝트 중심 교육이라고 말한다. 학습자들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교과과정을 배우고 실제 문제 해결에 습득한 지식을 다방면으로 실천해 
본다고 한다. Beckett(2006)에서 비판적 사고법, 고등 사고 능력, 문제 해결 
능력을 가르치는데 적합한 접근법이라고 한다. Stoller(2006)는 프로젝트 
작업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나열하였다.
1) 프로젝트 작업은 특정한 대상의 언어보다는 내용 학습에 초점을 맞
춘다. 학생들에게 있어 현실 세계의 일과 그들의 관심 주제는 프로젝트의 
내용이 될 수 있다. 


톡타로바 잔사야. 프로젝트 중심 번역교과목설계 
167 
2) 비록 교수자가 프로젝트 내 학생들에게 지원과 지도를 제공하지만, 
프로젝트 작업은 학생 중심적이다. 
3) 프로젝트 작업은 경쟁적이기보다는 협력적이다. 학생들은 혼자서, 
작은 그룹으로, 또는 수업 중 스스로 프로젝트를 완성하고 정보, 아이디
어, 전문 지식을 공유할 수 있다. 
4) 프로젝트 작업은 다양한 소스의 정보 처리 및 기술의 진정한 통합으
로 이어 실제 업무를 미러링한다.
5) 프로젝트 작업은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최종 결과(예:구두 
프레젠테이션, 포스터 세션, 게시판 디스플레이, 보고서 또는 무대 공연)
로 마무리되어 프로젝트에 실제 목적을 부여한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의 
가치는 결과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도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 작업은 과
정과 결과 지향성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세분화된 프로젝트 단계에서 학
생들에게 유창함과 정확성에 집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6) 프로젝트 작업은 잠재적으로 동기, 자극, 권한을 부여하며 도전적이
다. 이것은 보통 학생들에게 자신감, 자부심, 자율성을 가르치며 언어 능
력, 내용 학습, 인지 능력을 향상시킨다. 
프로젝트 작업의 특성을 살펴보았듯이 Stoller(2006)는 프로젝트 중심 
학습의 다양성이 프로젝트 중심 학습 개념을 하나의 정의로 명확히 표현
하기 어렵게 만든다고 하였다. 
제 2 언어와 외국어 교육 환경에서 프로젝트 중심 접근법을 적용해 본 
교수자들이 프로젝트 작업의 장점들을 나열하였다. Stoller(2006)는 16 개
의 게재된 논문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작업의 가장 많이 보고된 장점들을 
정리하였다. 제 2 언어와 외국어 교육에서 프로젝트 중심 작업에 의한 장
점들은 표 과 같다. 보고된 프로젝트 작업의 장점들을 통해 프로젝트 중
심 학습과 학생 중심 학습이 얼마나 밀접한지 확인할 수 있다. 


Достарыңызбен бөлісу:
1   ...   76   77   78   79   80   81   82   83   ...   120




©dereksiz.org 2024
әкімшілігінің қараңыз

    Басты бе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