КОРЕЕВЕДЕНИЕ КАЗАХСТАНА выпуск 9 (2019)
168
2.2. 통번역교육에서의
프로젝트
중심
접근법
프로젝트 번역 수행능력은 전문 통번역가가 갖추는 자질 중 한가지이
다. 따라서 번역 교육 과정에서의 프로젝트 중심 교육법은 학생들이 전문
가로 성장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현장경험을 시뮬레이션한 통번역
교육 방식은 학습자들이 전문 번역가의 실무를 사전에 경험할 수 있도록
하며 역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 Li(2000)는 학생들이 졸
업 이후 번역 전문가가 되었을 때 업무현장에서 “real word shock”을 느끼
지 않게 하기 위하여 실제성을 띄는 번역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였다. 현장 업무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한다면 학생들은 교과과
정에서 실무경험을 할 것이며, Li(2006)는 이것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
라고 말하고 있다. Risku(1998)에 따르면 과제를 단순히 수행하는 것과 달
리 프로젝트 번역을 할 때 자주성, 책임감, 정서적인 관여, 동기부여, 행동
개시 의욕이 생긴다고 한다(Kiraly, 2005에서 재인용).
실질적인 훈련교육은 실제성 있는 훈련 자료와 전문번역 시뮬레이션
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젝트 번역은 번역-지향과 연구-지향 두 가지 형태
로 구별한다. 번역-지향의 프로젝트는 학습자들이 실제 프로젝트나 시뮬
레이션 프로젝트를 번역한다. 연구-지향의 프로젝트는 학습자들이 번역
관련 연구 질문 제시부터 시작한다. 연구-지향 프로젝트를 하며 학습자들
은 협력해서 연구 질문에 답을 찾는다(Li, Zhang, & He, 2015).
Viaggio(1992)는 현 시점에서 번역가와 통역사는 전문적으로 훈련되지
않고 있으며, 단지 과거의 방식을 따라 “do-as-I-do”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고 하였다. 과거의 교육은 대부분 구조적이지 아니하며 교육과정이 다방
면으로 고려되지 않아 개선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오늘날까지 번역교
육 연구 분야에 꾸준한 발전이 있었지만 사회의 요구를 만족하는 커리큘
럼을 개발하는 것은 여전히 부족하다(Hurtado, 2015). Hurtado(2015)는 번
역과제 중심 접근법과 프로젝트 중심 접근법이 번역 능력을 형성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며, Lee-Jahnke(2011)는 번역능력 형성은 번역 교육의 최종
목표라고 한다. Kiraly(2012)는 실제협력 프로젝트는 교과과정의 기본단
위가 되어야 하고 교수자는 전문 통번역가로서 실생활에 필요한 통번역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적합한 프로젝트를 선택해야 한다고 한다.
Достарыңызбен бөліс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