КОРЕЕВЕДЕНИЕ КАЗАХСТАНА выпуск 9 (2019)
176
10) 번역(발견된 문제에 대한 보고서, 사용된 전략 및 문서 포함)(텍스
트적 능력)
모든 프로젝트 번역을 수행한 후에 학습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통해서
강의 평가를 할 것이다.
4. 결론
본 연구는 번역 교육 현장에서 프로젝트 중심 교육이 더욱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한국어-카자흐어/러시아어 통번역
학부 과정 3 학년을 주대상으로 프로젝트 중심 번역 실습 교과목 설계를
제안한다. 프로젝트 중심 번역 실습을 적용한다면 학습자가 졸업 이후 현
장에서 직면해야 할 경험을 교실에서 사전에 경험하여 번역 능력, 번역사
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번역 실습수업에서 교수자의 도움 없이 스스로 프로젝트를 수행함으
로 실무경험을 제공하며 프로젝트 번역 개념을 이해하고 번역 수행 단계,
번역 수행을 위해 필요한 지식과 능력을 갖추도록 유도한다. 또한, 과제
완료 후에는 포트폴리오 작성을 통해 자기 계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젝트 중심 번역 실습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다양한 준
비가 필요하며, 보다 효율적인 교과과정 운영을 위해서 교수자는 적합한
프로젝트를 잘 선택해야 한다. 학습자들은 프로젝트 번역 경험이 없는 경
우, 사전에 번역교육을 받아야 한다.
앞으로 프로젝트 중심 번역 실습수업 교수 방안을 더욱 명확하고 구체
적으로 논의할 것, 그리고 그 효과를 검증해 가는 것을 후속 연구로 남기
고자 한다.
참고문헌
1.
Kiraly, Don. Project-Based Learning: A Case for Situated Translation.
Meta, 50(4), 2005. pp. 1098–1111.
2.
톡타로바 잔사야. 한국어-카자흐어/러시아어 통번역 학습자의 요구 분석과
번역 입문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외국어교육연구,
32(4), 2018. pp.
295-320.
3.
Eyring, Janet Louise. Is project work worth it?
Washington, DC: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07838, 1997.
4.
Fried-Booth, Diana L. Project work (2nd ed.). New York: Oxford Univer-
sity Press, 2002.
5.
Markham, Thom, Larmer, John, & Ravitz, Jason.
(노선숙, 김민경, 임해미
공역). 프로젝트기반학습 입문서: 중등교사를 위한 기준중심 프로젝트기반
학습 안내서. 파주: 교육과학사, 2007.
톡타로바 잔사야. 프로젝트 중심 번역교과목설계
177
6.
Stoller, Fredricka. Establish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project-based
learning in second and foreign language contexts. In G. H. Beckett & P.
C. Miller (Eds.), Project-based second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Greenwich: Information age publishing, 2006.
pp. 19-40.
7.
Markham, Thom. Project Based Learning. Teacher Librarian, 39(2), 2011.
pp. 38-42.
8.
Beckett, Gulbahar H. Project-based second
and foreign language educa-
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G. H. Beckett & P. C. Miller
(Eds.), Project-based second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past, pre-
sent, and future. Greenwich:
Information age publishing, 2006. pp. 3-19.
9.
Li, Defeng. Tailoring Translation Programmes to Social Needs: A Survey
of Professional Translators, Target, 12(1), 2000. pp. 127-149.
10.
Li, Defeng. (2006). Translators as Well as Thinkers: Teaching of Journal-
istic Translation in Hong Kong. Meta, 51(3), pp. 611–619.
11.
Li Defeng, Zhang Chunling, & He, Yuanjian.
Project-based learning in
teaching translation: students’ perceptions. The Interpreter and Translator
Trainer, 9(1), 2015. pp. 1-19.
12.
Viaggio, Sergio.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Professionals or Shoemak-
ers? In C. Dollerup and A. Lindegaard (Eds.) Teaching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Amsterdam:
John Benjamins, 1992.
13.
Hurtado, Albir. The Acquisition of Translation Competence. Competenc-
es, Tasks, and Assessment in Translator Training. Meta, 60(2), 2015. pp.
256–280.
14.
Lee-Jahnke, Hannelore. Trendsetters and Milestones in Interdisciplinary
Process-oriented Translation: Cognition, Emotion, Motivation, In M. For-
stner and H. Lee-Jahnke (Eds.), CIUTI-Forum 2010
Global Governance
and Intercultural Dialogue: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in a New Geopo-
litical Setting. Bern: Peter Lang, 2011. pp. 109-153.
15.
Kiraly, Don. Growing a Project-Based Translation Pedagogy: A Fractal
Perspective. Meta, 57(1), 2012, pp. 82–95.
16.
Zheng, Jing. Teaching Business Translation —
A Project-based Ap-
proach. Advances in Economics, Business and Management Research, 21,
2017. pp. 178-183.
17. 최은실, 김도훈. 프로젝트 번역 학습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설계.
통번역교육연구,
14(1), 2016. pp. 53-72.
18.
Hurtado, Albir. Competence-based Curriculum Design for Training
Translators. The Interpreter and Translator Trainer, 1(2), 2007. pp.163-
195.
19.
Stoller, Fredricka. Project work: A means to promote language content.
English Teaching Forum, 35(4), 1997, pp. 2-7.